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진의 강도와 빈도, 지진 사례

자연, 우주, 환경, 지구과학 개념

by 앱모크 2022. 8. 5. 14:45

본문

지진의 강도와 빈도, 지진 사례

지진의 강도와 빈도, 지진 사례
지진의 강도와 빈도, 지진 사례

지진 규모가 3 이하이면 사람은 느낄 수 없습니다. 이러한 지진은 전 세계적으로 하루에 수천 번 발생합니다. 지진 규모가 4~5 정도면 건물의 파괴가 일어나는 수준입니다. 이런 정도의 지진은 연간 수천 번 이상 발생합니다. 지진 규모가 6이 넘어가면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보입니다. 이 정도의 지진은 1년에 수백 번 발생합니다.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인구 밀집 지역에 일어나면 그야말로 대재앙이 됩니다. 이런 규모의 지진은 1년에 수십 차례밖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미 이 표에서 살펴보았듯이 전 세계에 발생하는 지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습니다. 하지만 이들 지진의 상당수는 우리가 전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약하거나 우리가 생활하는 곳의 너무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합니다. 미국 지진정보센터는 전 세계적으로 한 해에 수백만 건의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 중 약 20,000건 정도만 지진계에 기록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들 기록된 지진 중에서 진도 6. 0 이상의 지진은 매년 수백 건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로부터 대강이나마 지진의 세기와 빈도와의 관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즉, 지진의 빈도는 진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지진 규모와 빈도와의 관계는 소위 구텐버그-리히터 법칙으로 이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식에서 N은 규모이고, 규모 M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는 횟수, N은 규모 M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는 횟수이며, a와 b는 지역 및 환경에 따른 상수입니다. 하버드 센트로이드 모멘트 텐서 카탈로그 자료를 바탕으로 지진 규모와 빈도가 구텐버그-리히터 법칙을 따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진 규모, 빈도 그리고 지진 방출 에너지를 표현한 것입니다.

유명한 지진

예를 들면 1906년에 일어난 샌프란시스코 지진은 규모가 8에 가까웠는데, 이 정도의 지진은 3년에 한 번 일어나며, 그 에너지는 화약 5,600만 톤이 폭발하는 에너지와 같으며, 이는 역사상 가장 강렬했던 핵 실험의 에너지와 맞먹을 정도였습니다. 지진에 의한 재해는 일차적인 것과 이차적인 것이 있습니다. 일차적인 재해는 지반 진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로 지표면 파열과 건물 붕괴 등으로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의미합니다. 이차적인 재해는 지진으로 유발된 다른 현상에 의한 재해, 즉 쓰나미, 화재, 범람 및 사태 등에 의한 인명 및 재산 피해입니다. 지진에 의한 재해 크기는 진앙과의 거리, 지진 규모, 지반의 굳기, 구조물의 내진성 그리고 인구 밀집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진앙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진도가 클수록 더 강한 진동을 경험하며, 지반이 무를수록 더 커다란 진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 하더라도 인구가 밀집된 곳일수록 그리고 건물과 같은 구조물이 지진에 취약할수록 그 피해가 커집니다. 지반의 굳기에 따라 진동 정도가 어떻게 다를 수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미고결 물에서의 진동이 암석에서의 진동보다 훨씬 큰 걸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단단한 지반일수록 진동이 적으며, 그래서 지진 피해가 더 적을 수 있습니다. 1989년 42명의 사망자를 낸 로마프에리타 지진이 지반에 따라 실제로 진폭이 얼마나 다르게 기록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지진에 의해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사이프레스 고가도로가 일부 무너졌습니다. 부드러운 진흙 위에 지어졌으며, 나머지 무너지지 않은 부분은 좀 더 단단한 바닥에 지어졌습니다. 오른쪽의 지진계 기록을 보면, 무너진 부분의 진동이 훨씬 컸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08년 7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중국 쓰촨 성 지진은 지진 규모도 컸지만 진앙 가까이 인구 밀집 지역이 있었고, 이곳의 대부분 건물들이 지진에 대한 대비 없이 지어져 그 피해를 크게 키웠습니다. 쓰촨 성 지진의 규모는 7. 8이었습니다. 1995년 6,000여 명의 사망자를 낸 고베 지진. 규모 7. 3의 지진에 의해 파괴된 고베 시의 모습입니다. 이 지진 당시 300여 건의 화재가 발생해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 2001년 944명의 사망자를 낸 엘살바도르 지진에 의해 대규모 사태가 일어난 모습입니다. 사망자 중 585명은 사태 때문에 죽었습니다. 이 표는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최악의 지진들에 대해 정리한 것입니다. 1위부터 3위까지가 중국 지진입니다. 1위인 1556년의 Shaanxi 지진은 무려 830,000명이 사망했습니다. 재일 한국인 학살로 유명한 관동 대지진은 142,000여 명의 사망자를 내어 14위를 차지했습니다.

예측이 불가능한 지진

지진은 현재까지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한 자연재해입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재해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대책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이러한 대책에는 지진 감시 및 경보 시스템 확충, 충분한 대피 및 대처 훈련, 내진 설계 등을 통한 지진 피해 최소화, 구제 기금 및 보험 등을 통한 재정 확충, 재난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호 시스템 확충 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지진파의 종류, 지진의 규모와 빈도 그리고 지진 재해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관련글 더보기